
오늘은 심폐소생술(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CPR)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심폐소생술은 심정지 상태에서 심장과 폐의 기능을 되살리기 위해 시행하는 응급처치로, 신속하고 정확한 시행이 생명을 구하는 데 큰 역할을 합니다.
가슴압박(Chest Compression), 인공호흡(Rescue Breathing), 자동제세동기(AED,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사용 등이 포함되며, 올바른 방법을 숙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심폐소생술의 기본 절차, 시행 방법, 주의사항 등을 자세히 알아볼 예정입니다.
1. 기본 심폐소생술 및 제세동기 적용
실습물품 | - 심폐소생술 모형 - 자동제세동기 - mouth shied - 손 소독제 |
2. 의학용어 정리
- CP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 심폐소생술
- ROSC (Return of Spontaneous Circulation) – 자발순환 회복
- AED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 자동제세동기
- CAB (Compression-Airway-Breathing) – 가슴압박-기도유지-호흡법
- ETT (Endotracheal Tube) – 기관내 삽관 튜브
3. 수행절차
번호 | 수행항목 | 이론적 근거 |
1 | 환자를 발견하면 양쪽 어깨를 가볍게 흔들며 환자의 의식을 확인한다. | 대상자가 반응이 없고 호흡이 없거나 심정지 호흡처럼 비정상적인 호흡을 보인다면 심정지로 판단 |
2 | 반응 없음이 확인되면, 즉시 한 사람을 지정하여 도움을 요청하고 또 다른 사람에게 제세동기를 가져오라 지시한다. | 정확한 업무지시를 통해 효율적이고 신속 이행이 가능하게 함 |
3 | 경동맥을 10초 이내로 촉지하여 맥박을 확인하며 동시에 호흡유무를 확인한다. | 지체 없는 cpr 시작을 위해 5초~10초 이내 맥박을 확인함 |
4 | 경동맥 맥박이 없는 경우 바로 흉부압박을 실시한다. 1) 흉부압박 위치는 흉골하부 1/2 지점임을 확인한다. |
|
5 | 2) 압박지점에 한쪽 손꿈치를 대고 다른 한 손을 그 위에 포개어 깍지를 낀 자세로 손을 놓는다. | 효과적인 가슴압박은 심폐소생술을 하는 동안 심장과 뇌로 충분한 혈류를 전달하기 위함 |
6 | 3) 팔꿈치를 곧게 펴고 환자의 가슴과 수직이 되도록 압박하고, 체중이 실리도록 하여 5cm 깊이로 압박 (소아 4~5cm) | 심폐소생술을 하는 동안 분당 시행하는 흉부압박수는 ROSC 및 양호한 신경기능을 유지한 생존률을 결정하는 중요 요소로 휴부압박 후에 충분히 이완을 해주어야 정맥귀환이 가능함 |
7 | 4) 흉부압박은 분당 100~120회 속도로 30회를 압박 함 압박후 가슴이 최대한 이완되어 혈류가 심장으로 충분히 채워지도록 하며 속도를 유지한다. |
흉부압박은 뇌와 심장 등 주요 장기에 약간의 혈류를 생성하며, 흉부압박을 효과적으로 시행할 수록, 더 많은 혈류를 주요 장기들로 보낼 수 있음 |
8 | 머리 기울임-턱 들어올리기 자세로 기도를 확보한다. (경추손상시 턱 들어올리기) |
기도개방은 인공호흡에 필수적으로 경추손상시 head-tilt, chim-left 수행할 경우 경추손사이 더욱 악화 될 수 있으므로 주의 |
9 | 가슴 상승이 눈으로 확인될 정도의 일회 호흡량으로 1초 동안 불어 넣어 인공호흡을 2회 실시한다. | |
10 | 자도 제세동기가 도착하면 전원을 킨다. | 정확한 심장리듬 판독을 위해 리듬 분석하여 심실세동이나 맥박이 없는 심실성 빈맥이면 제세동 실시 |
11 | 환장의 가슴을 노출시켜 패드 부착 부위에 땀이나 기타 이물질이 있으면 제거 후 흉골 패드는 흉골의 우측 쇄골 아래에, 심첨패드는 좌측 유두 아래의 액와 중앙선에 부착하고 심전도를 분석한다. | |
12 | 제세동 해야함이 확인되면 충전 후 환자에게 모두 떨어지도록 주위 사람들에게 지시한 다음, 깜빡이는 버튼을 눌러 제세동을 실시한다. | 전기충격시 환자와접촉하고 있는 사람도 함께 전기추=충격이 가해질 수 있음 |
13 | 제세동이 완료되면 바로 4~9번 과정을 5cycle 반복한다. | |
14 | 호흡과 맥박 확인 후 제세동기를 사용하여 심전도 리듬을 분석한다. | |
15 | 심전도 분석 결과에 따라 12~13번 과정을 반복한다. | |
16 | 심폐소생술팀이 도착하면 정확한 상황을 인계한다. | 대상자 발견시간 및 주위 상황, 최초 심폐소생술 등에 대해 설명 |
17 | 물과 비누로 손위생을 실시한다. |
4. 핵심 정리
- 환자를 발견하면 반응과 호흡을 확인하고, 즉시 주변 사람에게 도움과 제세동기를 요청한다.
- 맥박이 없으면 바로 흉부압박을 시작하며, 흉골 하부 1/2 지점을 5cm 깊이로 분당 100~120회 압박한다.
- 가슴이 완전히 이완되도록 하고, 30회 압박 후 기도 확보 후 2회의 인공호흡을 시행한다.
- 제세동기가 도착하면 전원을 켜고 패드를 부착해 리듬을 분석하며, 필요 시 제세동을 실시한다.
- 제세동 후 즉시 흉부압박과 인공호흡을 5주기 반복하고, 상황을 심폐소생술팀에 인계한 후 손위생을 실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