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간호 스터디

입원관리 - 기본간호 [핵심간호술기]

by olove 2025. 2. 28.

    오늘은 입원관리(Hospital Admission Management)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입원관리는 환자가 병원에 도착하여 치료를 받고 퇴원하기까지의 모든 과정을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중요한 과정입니다.

     

    환자의 상태를 면밀히 파악하고, 최적의 치료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오늘 포스팅에서는 입원관리의 수행절차, 간호기록 작성, 관련 의학용어 등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기본간호 [핵심간호술기] - 입원관리
    기본간호 [핵심간호술기] - 입원관리

     

     

     


    1. 선행지식

    통증척도는 환자가 느끼는 통증의 정도를 숫자나 그림으로 표현하게 해서, 간호사가 통증을 쉽게 파악하고 관리할 수 있게 해주는 도구입니다.

     

    대표적인 종류는 다음과 같아요.

    ✔️ 숫자통증척도(NRS): 0~10 중에서 숫자로 표현 (0은 통증 없음, 10은 가장 심한 통증)

    ✔️ 얼굴통증척도(FPS): 표정 그림을 보고 선택 (어린이나 말 못하는 사람에게 좋아요)

    ✔️ FLACC 척도: 얼굴, 다리, 활동 등 5가지 항목을 보고 점수 매김 (영아나 의사소통 어려운 환자용)

     

    통증척도를 사용하면, 통증이 얼마나 심한지 정확하게 기록하고 약물 효과도 체크할 수 있어요.

    통증척도

     

     

     


    2. 입원관리

    실습물품 - 신장 및 체중계
    - 간호정보조사지
    - 간호기록지
    - 낙상위험도
    - 욕창위험도 및 통증 측정도구
    - 청진기, 혈압계, 체온계, 화잔 이름표, 입원생활 안내서, 펜 라이트, 손소독제, 전화기, 의치보관용기(필요시)

     

     

     


    3. 의학용어 정리

    • NRS (Numeric Rating Scale) – 숫자 통증 척도 (환자의 통증 정도를 0~10까지 숫자로 평가)
    • OPD (Outpatient Department) – 외래진료부 (입원하지 않고 진료받는 부서)
    • ADL (Activities of Daily Living) – 일상생활 수행능력 (환자의 기본적인 생활활동 능력 평가)
    • PR (Pulse Rate) – 맥박수
    • RR (Respiratory Rate) – 호흡수
    • BP (Blood Pressure) – 혈압
    • Pt (Patient) – 환자

     

     

     


    4. 수행절차 바로가기

    번호 수행항목 이론적 근거
    1 대상자에게 간호사 자신을 소개한다. 안위도모 및 불필요한 기다림을 예방하기 위함
    2 대상자 이름, 등록번호 등을 개방형으로 질문한 다음, 환자 팔찌와 환자리스트(처방지 또는 컴퓨터 출력물)를 대조하여 대상자(이름, 등록번호)를 확인한다.  
    3 환의, 필요한 물품 및 기구를 준비하여 입원실로 안내한 후 환의를 갈아입도록 한내하고 환자 팔찌를 끼운다.  
    4 환의를 입도록 한 후 간호사실에서 키와 체중을 측정하고 측정치를 대상자에게 알린다. 입원당시 키와 체중 측정치를 확인하기 위함
    5 대사자를 입원실로 안내한 다음 담당의사에게 대상자의 입원 사실을 알린다.  
    6 환자 이름표를 병실 앞과 침대에 붙인다. 정확한 대상자 확인을 위함
    7 손위생을 한다. 미생물 전파방지
    8 대상자의 활력징후를 측정한다. 기본자료수집 및 상태 확인을 위함
    9 입원간호정보조사지의 각 항목을 대상자에게 질문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기록한다.  
    10 현재 통증이 있는지 질문하고 통증점수를 측정한다. 통즈강도측정도구로는 숫자척도(NRS)가 가장흔히 사용되나 아동에게는 안면 통증단계 척도를 사용함.
    1~3점: 경증, 4~6점: 중등도, 7~10점: 극심한 통증
    11 욕창위험도를 사정한다. 욕창예방간호를 위해
    12 낙상위험도를 사정한다. 낙상 고위험군에게 낙상위험도에 따라 낙상 예방간호를 함

    저위험군: 침상난간 올리기, 환자교육
    중위험군: 침상난간 올리기, 환자교육, 낙상위험표지부착
    고위험군: 침상난간 올리기, 환자교육, 낙상위험표지부착
    13 낙상위험도에 따라 낙상 예방교육을 한다.
    * 낙상고위험군에 대한 낙상예방간호
    - 침대난간 올림
    - 침대 바퀴 고정 등 환자교육, 인계시 낙상위험군 정보공유, 시설환경 점검, 낙상예방스티커 부착, 잠자기 전 화장실 다녀오기 등
     
    14 입원생활 안내문 (입원 준비물, 식사시간, 배선실 위치, 면회시간, 병실 내 전화사용, 간호사실 위치 및 전화번호, 간호사 호출벨 사용법, 전기스위치 작동법 및 위치, 공용화장실위치, 샤워실 이용, 금연, 진단서 및 진료기록 사본 발급, 귀중품 관리 등)을 가지고 설명 후 안내문을 준다. 입원으로 인한 불안 감소 및 편의도모를 위함
    15 복용중인 약물 여부를 확인한다.
    16 준비해야할 물품을 설명한다. 
    17 입원 및 앞으로의 치료에 대해 불안해하는지 확인하고 불안완화 간호를 실시한다.
    18 사용한 물품을 정리한다.
    19 손위생을 한다.
    20 수행결과를 대상자의 간호기록지에 기록한다.
    1) 사정내용(간호정보조사지 내용, 통증, 욕창, 낙상 위험도)
    2) 수행내용
    3) 교육내용

     
     

     


    5. 간호기록지

    간호기록지 다운로드 (pdf)

    간호기록지-입원관리.pdf
    0.03MB

     

     

     


    6. 핵심정리

    입원관리는 환자의 안전과 안위를 보장하며, 입원 초기부터 퇴원까지의 전 과정을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개인위생, 환경정리, 침상정돈 등 기본적인 간호를 통해 환자의 불편을 최소화하고 회복을 도울 수 있습니다.

     

    환자와 보호자에게 병원 생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심리적 지지를 통해 적응을 돕는 것도 간호사의 중요한 역할입니다. 철저한 사정과 기록은 입원관리를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기본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