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늘은 병원에서 환자의 상태에 따라 병실을 이동하는 과정인 전실(Transfer) 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환자의 치료 환경이 변경될 때는 안전하고 원활한 이동이 중요합니다.
오늘 글을 통해 전실에 대한 수행절차, 관련 의학용어, 목적등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전실(전동) 준비하기
- 목적: 전실(전동)으로 인한 대상자의 불편감을 최소화 하고 치료에 요구되는 대상자의 상태를 전실 병동에 정확하게 알려줌으로써 간호의 연속성을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실습물품 | - 휠체어, 이동용 침대, 이불, 대상자가 사용중인 약물, 개인 위생용품, 개인소지품, 간호기록지, 필요시 특수기구 |
2. 의학용어 정리
- Transfer – 전실, 환자의 병실을 이동하는 과정
- ICU (Intensive Care Unit) – 중환자실
- GW (General Ward) – 일반 병동
- Pt (Patient) – 환자
3. 수행절차 바로가기
번호 | 수행항목 | 이론적 근거 |
1 | 의사처방을 확인한다. | 의사가 대상자 이동을 처방함 |
2 | 입원계에 전산입력을 하고 전실을 알린다. | 효율적인 치료의 진해 및 검사의 지연을 방지함 |
3 | 이실할 병동에 연락하여 이실에 필요한 침상 및 물품을 준비하도록 하며 이실 가능한 시간을 확인한다. | 치료가 중단되지 않도록 하며 대상자에게 불필요한 기다림을 줄여줌 |
4 | 간호사 자신을 소개한 후 두 가지의 개방형 질문으로 대상자를 확인한다. | 정확한 대상자 확인을 위함 |
5 | 대상자에게 전실의 필요성을 설명하고, 이동을 알린다. | 새로운 병동에 적응하도록 도움 |
6 | 기구, 개인 소지품을 확인한다. | 제대로 기능하는지 확인하고 분실에 대비함 |
7 | 대상자 이동을 도와줄 간호보조인력을 확보한다. | 안전한 이송 및 시간 단축을 위함 |
8 | 휠체어나 운반차로 대상자를 이동시킨다. 보호용 벨트와 침상난간을 이용한다. | 낙상을 방지함 |
9 | 이동하는 동안 대상자의 보온을 위해 이불을 덮어준다. | 안위도모를 위함 |
10 | 이동 병동에 도착하면 도착 사실을 해당 병동 책임간호사에게 알린다. | 대상자 확인을 위함 |
11 | 간호계획, 투약기록지, 카덱스를 보여주면서 담당 간호사에게 인계한다. 치료와 관련된 대상자의 모든 정보를 간호사에게 알린다. | 적절한 의사소통을 통해 안위도모 및 간호의 연속성 유지를 위함 |
12 | 대상자 전실이 마무리 되면 의사에게 알린다. | 대상자 파악 및 적절한 치료의 연계를 위함 |
13 | 임상검사가 예약되어 있거나 결과가 곧 나온다면 검사실에 대상자 이동을 알린다. | 치료의 연속성 유지를 위함 |
14 | 대상자와 관련된 주요정보를 기록한다. | 기록 유지 및 정보 공유를 위함 |
4. 핵심 정리
전실(전동) 준비는 환자의 안전하고 원활한 이동을 위해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 합니다. 이전 병실과 새로운 병실의 환경을 사전에 점검하고, 필요한 물품을 준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환자의 상태 변화나 특이사항을 정확히 인계받고 전달하는 것이 전동 간호의 핵심입니다. 간호학생은 실습 중 전동 절차를 숙지하고, 대상자의 불안을 줄이기 위한 의사소통에도 주의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