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간호 스터디

유치도뇨 - 기본간호 [핵심간호술기]

by olove 2025. 2. 21.

    오늘은 유치도뇨(Indwelling Catheterization, Foley Catheterization)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유치도뇨는 배뇨 장애가 있거나, 수술 후 소변 배출이 어려운 환자에게 도뇨관을 삽입하여 일정 기간 동안 소변을 배출하도록 돕는 술기입니다.

     

    소변이 지속적으로 배액백으로 모이도록 하기 때문에, 요폐(Urinary Retention), 신장 기능 저하, 의식저하 환자 등에서 필수적으로 시행됩니다.

     

    하지만 장기간 유지될 경우 요로감염(UTI)의 위험이 높아질 수 있으므로, 무균술을 준수하고 철저한 관리가 필요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유치도뇨의 목적, 절차, 관리 방법 및 주의사항을 자세히 정리해보겠습니다.

     

     

    기본간호 [핵심간호술기] - 유치도뇨
    기본간호 [핵심간호술기] - 유치도뇨

     

     

     


    1. 선행지식

    Q. 유치도뇨의 목적은 ?
     
    - 간헐적 도뇨를 지나치게 자주 하는 것을 막기 위해서

    - 비뇨기계 or 주변 장기의 수술 준비

    - 만성질환 대상자나 의식 없는 대상자의 정확한 배설량을 측정하기 위해서

    - 시간당 소변 배설량 측정을 위해

    - 지속적 or 간헐적 방광세척을 위해

     
    Q.  남성과 여성의 도뇨관 크기는 ?

     

    - 남성: 16~18Fr

    - 여성: 14~16Fr

     

    Q.  소변수집주머니를 방광보다 아래에 위치하도록 해야 하는 이유는 ?

     

    - 소변수집주머니 속의 소변이 방광 위로 역류하여 감염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

     

    Q.  도뇨관 유치를 위해 ballooning 시 사용하는 용액의 종류는 ?

     

    - 멸균증류수 10cc를 사용함.

    -발루닝 시 생리식염수가 아닌 멸균 증류수로 사용하는 이유는 생리식염수에는 염분이 있어 장기간 유치도뇨시 결정체가 생겨 나중에 발루닝이 안빠질 수 있기 때문이다.

     

     

     


    2. 유치도뇨

    실습물품 - 도뇨모형, 유치도뇨세트
    - 4x4 거즈캔, chlorhexidine ball 캔, long forcep & jar, 수용성 윤활제
    - Foley catheter, surgical glove, 10cc syringe, 멸균증류수
    - 방수포, 홑이불, 손소독제, Tray, 곡반, 소변기, 반창고, urine bag
    - 간호기록지
    처방지 - foley catheterization
    - I/O check

     

     

     


    3. 의학용어 정리

    • 유치도뇨 (Indwelling Catheterization, Foley Catheterization): 일정 기간 동안 도뇨관을 삽입하여 지속적으로 소변을 배출하는 방법
    • 방광세척 (Bladder Irrigation): 도뇨관을 통해 방광을 세척하는 과정
    • 잔뇨 (Residual Urine): 배뇨 후 방광에 남아 있는 소변의 양
    • 요로감염 (Urinary Tract Infection, UTI): 도뇨 후 감염으로 인해 발생하는 요로 질환
    • 배뇨곤란 (Dysuria): 배뇨 시 통증이나 어려움이 있는 상태

     

     

     


    4. 수행절차 바로가기

    번호 수행항목 이론적 근거
    1 물과 비누로 손위생을 실시한다. 미생물 전파 방지
    2 필요한 물품을 준비한다. 효과적인 절차를 수행하기 위함
    3 1) 유치도뇨세트를 쟁반(tray)위에 놓고, 무균적으로 편다  
    4 2) 도뇨세트의 종지에 소독솜을 넣고, 멸균 윤활제를 세트 내에 짜 넣는다.  
    5 3) 나머지 종지 속에 멸균 증류수와 멸균주사기를 무균적으로 넣는다.  
    6 적당한 크기의 도뇨관을 무균적으로 세트속에 넣은 후 세트를 무균적으로 싼다. 멸균적으로물품을 준비함으로써 감염의 위험이 낮아짐
    7 준비한 물품을 가지고 대상자에게 가서 간호사 자신을 소개한다. 대상자의 협조를 구하고 처치에 대한 불안을 감소시키기 위해
    8 손소독제로 손위생을 실시한다. 오염예방 및 감염방지
    9 대상자의 이름을 개방형으로 질문하여 대상자를 확인하고, 환자 팔지와 리스트 (처방지 or 컴퓨터 출력물)를 대조하여 대상자의 (이름, 등록번호)를 확인한다. 안전한 간호를 수행하기 위한 대상자 확인 절차
    10 유치도뇨를 하는 목적과 절차를 설명한다. 대상자의 불안을 감소시키고 협조를 구하며 알 권리를 충족시킴
    11 커튼으로 대상자의 사생활을 보호해주고 똑바로 눕히도록 한 후 침구를 덮어준다. 대상자의 프라이버시 보호
    12 방수포를 대상자의 둔부 밑에 깐다. 침상바닥 오염 방지
    13 대상자의 하의를 벗기고 무릎을 굽힌 후 60cm 가량 다리를 벌려 배횡와위를 취하도록 도와준다.
    *참고) 남자는 앙와위
    배횡와위는 요도구 확인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
    14 복부위로 침구 끝을 접어올려 회음부를 노출시키고 대상자에게 다리를 움직이지 말라고 설명한다. 펼친 멸균세트가 오염되지 않도록 주의한다
    15 세트가 있는 쟁반(tray)과 곡반을 대상자 다리 사이에 놓고 준비한 세트를 연다.  
    16 손소독제로 손위생을 실시한다.  
    17 멸균장갑을 무균적으로 착용한다.  
    18 멸균장갑을 낀 손이 오염되지 않게 노출된 외음부 부위를 공포로 덮어준다. 노출을 최소화하여 감염 및 오염 방지
    19 주사기에 도뇨관에 표시된 정확한 양의 증류수를 준비한다.  
    20 도뇨관의 풍선주입구에 주사기에 있는 증류수를 주입하여 도뇨관 풍선의 팽창 여부를 확인하고, 다시 주사기 속으로 빼낸다. 풍선이 새거나 부풀지 않으면 새 도뇨관으로 교체한다
    21 도뇨관 끝(5cm)에 윤활제를 바르고, 소독솜으로 외음부 주위를 닦을 때 찬 느낌이 있을 수 있음을 설명한다. 도뇨관 삽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
    22 도뇨관의 소변이 흘러나오는 출구를 겸자로 잠근다. 도뇨관이 방광에 도달하자마자 소변이 나와 오염될 수 있기 때문
    23 소독솜으로 외음부 주위를 닦는다. ( 한 번 닦을 때마다 새 솜을 사용하고, 닦은 솜은 세트 바깥 포에 놓는다.) 감염을 방지하기 위해
    24 한 손의 엄지와 검지로 음순을 벌려 요도를 노출시킨다.  
    25 다른 손으로 양 편 대음순을 위에서 아래로 닦는다. 항문에서 요도구의 오염물질 전파를 방지하기 위함
    26 양편 소음순을 위에서 아래로 닦는다.  
    27 요도를 위에서 아래로 닦는다.
    *참고) 남자의 경우
    1) 한손의 엄지와 검지로 음경을 잡고 포피를 잡아 당긴다.
    2) 요도를 소독솜으로 닦고 버린다.
    3) 요도구 바깥쪽으로 둥글게 닦고 버린다.
     
    28 도뇨관 삽입함을 대상자에게 알리고 긴장을 풀도록 유도한다. 구강호흡이나 '아'소리를 내도록 하면 복근이 이완되어 불편감을 낮춰줄 수 있다.
    29 다른 손으로 도뇨관이 오염되지 않게 잘 감아 쥐고 후상방으로 5~8cm 정도 삽입한다. (남성=18~22cm) 카테터 끝이 대상자 몸에 닿지 않게 주의한다. 삽입시 구강호흡 하도록 유도함
    30 카테터 끝을 곡반에 대고 잠궈둔 겸자를 풀어 소변이 나오는지 확인한다. 소변이 나올때 세트내로 나오지 않돌고 주의한다
    31 소변이 흘러나오기 시작하면 도뇨관을 2~4cm 가량 더 삽입 후 음순을 벌려 손을 뗀다. 도뇨관을 방광 내 유지시키기 위해
    32 도뇨관의 풍선 주입구에 연결된 주사기에 들어있는 증류수 주입 후 주사기를 제거한다. 도뇨관이 안전하게 방광으로 들어가게 하여 요도외상을 피한다
    33 도뇨관을 부드럽게 잡아당겨 카테터가 안전하게 방광 안에 있는지 확인한다. 저항이 느껴지면 방광속 도뇨관이 고정된다
    34 공포를 치우고 장갑을 벗는다. 회음부에 손이 닿지 않도록 함
    35 손소독제로 손 위생을 실시한다.   
    36 소변주머니 하단 조절기가 잠겨 있는지 확인 후 소변 수집주머니를 도뇨관에 연결한다. 소변이 새 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37 도뇨관의 소변 나오는 출구를 잠가 두었던 겸자를 제거한 후 도뇨관을 반창고로 태퇴에 고정시킨다. 
    남자: 하복부
    대상자가 움직일 때 요도와 요도구의 마찰 방지
    38 소변수집 주머니 상단의 조절기가 열려있어 소변이 잘 나오는지 확인하고 소변수집 주머니를 침상아래 고정하되 바닥에 닿지 않도록 한다. 침대보다 높을경우 역류할 수 있음
    39 대상자에게 현재의 체위와 삽입한 도뇨관이 편안한지 묻고 소변수집 주머니 관리 방법을 설명한다.  
    40 사용한 물품을 정리한다.   
    41 물과 비누로 손위생을 실시한다. 미생물 전파 방지
    42 수행결과를 간호기록지에 기록한다.
    1) 날짜 및 시간
    2) 유치도뇨시행이유
    3) 사용한 도뇨관 크기 및 종류
    4) 소변의 배출 여부와 양, 색깔 등
    중복수행 방지 및 법적 근거자료

     
     

     


    5. 간호기록지

    간호기록지 다운로드 (pdf)

     

     


    6. 핵심 정리

    유치도뇨는 소변 배출이 어려운 환자에게 도뇨관을 삽입해 소변을 지속적으로 배출하도록 돕는 간호술기입니다. 감염 예방을 위해 무균술을 철저히 지키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도뇨관 삽입 전 대상자의 상태를 잘 사정하고, 시술 중에는 불편감이나 통증 여부를 꼼꼼히 확인해야 합니다. 간호학생 여러분, 처음엔 어렵게 느껴질 수 있지만, 하나하나 익히다 보면 금방 익숙해질 거예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