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늘은 단순도뇨(Simple Catheterization)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단순도뇨는 배뇨가 어려운 환자에게 일시적으로 도뇨관을 삽입하여 방광의 소변을 배출하는 술기입니다.
요폐(Urinary Retention), 방광 팽만(Bladder Distention), 배뇨 곤란(Dysuria) 등의 증상이 있는 환자에게 시행되며, 유치도뇨와 달리 도뇨관을 삽입 후 즉시 제거한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단순도뇨는 비교적 간단한 술기이지만, 무균술을 철저히 지켜 감염을 예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단순도뇨의 목적, 시행 방법, 주의사항 등을 자세히 다뤄볼 예정이니, 함께 알아보도록 해요.
1. 선행지식
Q. 단순도뇨의 목적은 ?
- 급성 방광 팽만을 완화 하기 위함
- 무균적인 소변검사물 수집을 위해
- 자연배뇨시 회음부의 오염방지를 위해
Q. 남성과 여성의 도뇨관 삽입길이는 ?
- 남성: 18~22cm
- 여성: 5~8cm
- 남성과 여성의 요도의 길이가 다르기 때문에 삽입길이에 차이가 있음
Q. 도뇨 수행 전 회음부 소독시 대음순을 먼저 소독하는 이유는 ?
- 요도구는 분비물이 많아 더러운 곳으로 간주 되기 때문에 피부가 겹친 부위는 중심을 먼저 소독하여도 바깥 부분에 의해 오염되므로 대음순 먼저 소독해야 함.
2. 단순도뇨
실습물품 | - 도뇨모형, 드레싱세트, 소공포 - 4x4 거즈캔, chlorhexidine ball 캔, long forcep & jar, 수용성 윤활제 - Nelaton catheter, surgical glove, 1회용 비닐 장갑 - 방수포, 홑이불, 손소독제, Tray, 곡반, 소변기 - 간호기록지 |
처방지 | - straight catheterization |
3. 의학용어 정리
- 단순도뇨 (Simple Catheterization, Intermittent Catheterization, IC): 일시적으로 도뇨관을 삽입하여 방광의 소변을 배출하는 술기
- 도뇨관 (Urinary Catheter): 요도를 통해 방광에 삽입하여 소변을 배출하는 튜브
- 방광세척 (Bladder Irrigation): 도뇨관을 통해 방광을 세척하는 과정
- 잔뇨 (Residual Urine): 배뇨 후 방광에 남아 있는 소변의 양
- 요정체 (Bladder Distention): 방광이 소변으로 과도하게 팽창된 상태
- 배뇨곤란 (Dysuria): 배뇨 시 통증이나 어려움이 있는 상태
- 빈뇨 (Frequent Urination, Frequency): 하루에 배뇨하는 횟수가 증가하는 증상
- 야뇨증 (Nocturia): 밤에 자주 소변을 보는 현상
- 요로감염 (Urinary Tract Infection, UTI): 도뇨 후 감염으로 인해 발생하는 요로 질환
4. 수행절차 바로가기
번호 | 수행항목 | 이론적 근거 |
1 | 물과 비누로 손위생을 실시한다. | 미생물 전파 방지 |
2 | 필요한 물품을 준비한다. | 효과적인 절차를 수행하기 위함 |
3 | 1) 도뇨세트를 쟁반(tray)위에 놓고, 무균적으로 편다 | |
4 | 2) 도뇨세트의 종지에 소독솜을 넣고, 멸균 윤활제 세트 내에 짜 넣는다. | |
5 | 적당한 크기의 도뇨관을 무균적으로 세트속에 넣은 후 세트를 무균적으로 싼다. 여자: 6~7#, 남자: 7~8# |
멸균적으로물품을 준비함으로써 감염의 위험이 낮아짐 |
6 | 준비한 물품을 가지고 대상자에게 가서 간호사 자신을 소개한다. | 대상자의 협조를 구하고 처치에 대한 불안을 감소시키기 위해 |
7 | 손소독제로 손위생을 실시한다. | 오염예방 및 감염방지 |
8 | 대상자의 이름을 개방형으로 질문하여 대상자를 확인하고, 환자 팔지와 리스트 (처방지 or 컴퓨터 출력물)를 대조하여 대상자의 (이름, 등록번호)를 확인한다. | 안전한 간호를 수행하기 위한 대상자 확인 절차 |
9 | 단순도뇨를 하는 목적과 절차를 설명한다. | 대상자의 불안을 감소시키고 협조를 구하며 알 권리를 충족시킴 |
10 | 커튼으로 대상자의 사생활을 보호해주고 똑바로 눕히도록 한 후 침구를 덮어준다. | 대상자의 프라이버시 보호 |
11 | 방수포를 대상자의 둔부 밑에 깐다. | 침상바닥 오염 방지 |
12 | 대상자의 하의를 벗기고 무릎을 굽힌 후 60cm 가량 다리를 벌려 배횡와위를 취하도록 도와준다. *참고) 남자는 똑바로 눕게 하고 회음부만 노출 |
배횡와위는 요도구 확인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 |
13 | 복부위로 침구 끝을 접어올려 회음부를 노출시키고 대상자에게 다리를 움직이지 말라고 설명한다. | 펼친 멸균세트가 오염되지 않도록 주의한다 |
14 | 세트가 있는 쟁반(tray)과 곡반을 대상자 다리 사이에 놓고 준비한 세트를 연다. | |
15 | 손소독제로 손위생을 실시한다. | |
16 | 멸균장갑을 무균적으로 착용한다. | |
17 | 멸균장갑을 낀 손이 오염되지 않게 노출된 외음부 부위를 공포로 덮어준다. | 노출을 최소화하여 감염 및 오염 방지 |
18 | 도뇨관 끝(5cm)에 윤활제를 바르고, 소독솜으로 외음부 주위를 닦을 때 찬 느낌이 있을 수 있음을 설명한다. | 도뇨관 삽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 |
19 | 한 손의 엄지와 검지로 음순을 벌려 요도를 노출시킨다. | |
20 | 다른 손으로 양 편 대음순을 위에서 아래로 닦는다. | 항문에서 요도구의 오염물질 전파를 방지하기 위함 |
21 | 양편 소음순을 위에서 아래로 닦는다. | |
22 | 요도를 위에서 아래로 닦는다. *참고) 남자의 경우 1) 한손의 엄지와 검지로 음경을 잡고 포피를 잡아 당긴다. 2) 요도를 소독솜으로 닦고 버린다. 3) 요도구 바깥쪽으로 둥글게 닦고 버린다. |
|
23 | 도뇨관을 삽입할 때까지 음순을 한 손으로 벌리고 있는다. | 도뇨관 삽입을 원활히 하기 위함 |
24 | 도뇨관 삽입함을 대상자에게 알리고 긴장을 풀도록 유도한다. | 구강호흡이나 '아'소리를 내도록 하면 복근이 이완되어 불편감을 낮춰줄 수 있다. |
25 | 다른 손으로 도뇨관이 오염되지 않게 잘 감아 쥐고 후상방으로 5~8cm 정도 삽입한다. (남성=18~22cm) | 삽입시 구강호흡 하도록 유도함 |
26 | 소변이 흘러나오기 시작하면 도뇨관을 2~4cm 가량 더 삽입하여 소변이 곡반 속으로 흘러나오게 한다. | 도뇨관을 방광 내 유지시키기 위해 |
27 | 소변이 더 이상 흘러나오지 않으면 도뇨관을 천천히 돌리면서 빼어 세트에 넣고 마른거즈로 요도구와 그 주위를 닦음 | 피부 자극 방지 |
28 | 공포를 치우고 장갑을 벗는다. | 회음부에 손이 닿지 않도록 함 |
29 | 손소독제로 손 위생을 실시한다. | |
30 | 대상자를 편안하게 해주고 1회용 장갑 착용 후 곡반의 소변을 소변기에 담아 양을 측정한다. | 배설량 측정/ 기록하여 대상자에게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
31 | 사용한 물품을 정리한다. | |
32 | 물과 비누로 손위생을 실시한다. | 미생물 전파 방지 |
33 | 수행결과를 간호기록지에 기록한다. 1) 날짜 및 시간 2) 도뇨시행이유 3) 사용한 도뇨관 크기 4) 소변의 양, 색깔 |
중복수행 방지 및 법적 근거자료 |
5. 간호기록지
간호기록지 다운로드 (pdf)
6. 핵심 정리
단순도뇨는 방광에 일시적으로 도뇨관을 삽입해 소변을 배출하거나 소변 검체를 채취하는 간호술기입니다. 무균적 술기를 지키는 것이 감염 예방의 핵심입니다.
시술 전 환자의 상태와 배뇨 곤란 여부를 확인하고, 도뇨관 삽입 시 불편감이 최소화되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실습 중에는 단계마다 침착하게 진행하고, 무엇보다 대상자의 존엄성을 지키는 간호를 실천하는 것이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