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늘은 위관영양(Enteral Nutrition)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위관영양은 경구 섭취가 어려운 환자에게 적용되는 영양 공급 방법으로, 비위관(NG Tube, L-Tube) 또는 위루관(G-Tube)을 이용해 영양소를 직접 공급하는 방식입니다.
하지만 올바른 삽입과 관리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흡인성 폐렴(Aspiration Pneumonia)과 같은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어 세심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위관영양의 목적, 적응증, 이론적 근거, 주의사항, 간호기록지, 선행지식 등을 꼼꼼하게 정리해 보겠습니다. 정확하고 안전한 위관영양 수행을 위해 함께 알아볼까요?
1. 선행지식
Q. 위관영양액을 체온정도로 데우는 이유는 ?
- 영양액의 온도는 실온정도가 적절하여 차가운 영양액이 주입되면 통증을 유발 할 수 있다.
Q. 위관영양간호 수행 전 공기를 먼저 주입한 뒤 흡인하는 이유는 ?
- 위관이 제자리에 잘 삽입되었는지 확인하기 위함.
Q. 위관의 위치를 확인하는 방법에는 무엇이 있는가 ?
- X-선 촬영
- 위 내용물을 흡인하여 확인
- 흡인물 산도 측정
- 상복부 검상돌기 아래 청진기로 공기 5~10cc를 주입하여 공기소리가 나는지 확인
2. 간헐적 위관영양
실습물품 | - 초침이 있는 손목시계 - 물, 위관영양액, 50ml 관장용 주사기, 영양액 주입용기 세트 - 위관영양 모형, IV pole - 방수포, 종이타월, 손소독제, Tray - 간호기록지 |
처방지 | ● semi-fowler's position ● 뉴케어 300ml #3 via l-tube |
3. 의학용어 정리
- 위관영양 (Enteral Nutrition): 위나 소장에 직접 영양분을 공급하는 방법
- 비위관 (Nasogastric Tube, NG Tube, L-Tube): 코를 통해 위까지 삽입하는 튜브로, 위관영양 또는 위 내용물 배출 시 사용
- 흡인성 폐렴 (Aspiration Pneumonia): 음식물이나 위 내용물이 기도로 흡인되어 발생하는 폐렴
- 위 잔류량 (Gastric Residual Volume, GRV): 위 속에 남아 있는 내용물의 양을 측정하는 것으로, 위 배출 기능을 평가하는 지표
- 역류 (Regurgitation): 위 내용물이 다시 식도로 올라오는 현상
- 연하곤란 (Dysphagia): 삼키는 과정에 어려움이 있는 상태
4. 수행절차 바로가기
번호 | 수행항목 | 이론적 근거 |
1 | 물과 비누로 손위생을 실시한다. | 미생물 전파 방지 |
2 | 처방된 위관영양액을 포함하여 필요한 물품을 준비한다. | 효과적인 절차를 수행하기 위함 |
3 | 처방된 위관영양액을 체온 정도의 온도로 데운다. | 설사, 발열, 구토 예방을 위해 |
4 | 준비한 물품을 가지고 대상자에게 가서 간호사 자신을 소개한다. | 대상자의 협조를 구하고 처치에 대한 불안을 감소시키기 위해 |
5 | 손소독제로 손위생을 실시한다. | 오염예방 및 감염방지 |
6 | 대상자의 이름을 개방형으로 질문하여 대상자를 확인하고, 환자 팔지와 리스트 (처방지 or 컴퓨터 출력물)를 대조하여 대상자의 (이름, 등록번호)를 확인한다. | 안전한 간호를 수행하기 위한 대상자 확인 절차 |
7 | 위관영양의 목적과 약물의 효과, 주의사항, 방법을 설명한다. | 대상자의 불안을 감소시키고 협조를 구하며 알 권리를 충족시킴 |
8 | 금기가 아닌 경우 대상자를 30~45도 정도 앉은 자세를 취하게 한다. (일어나지 못하면 오른쪽으로 눕힌다.) |
반좌위와 좌위는 위관을 통한 영양막이 중력을 통해 쉽게 내려가고 음식물 역류로 인한 기도흡인 위험이 낮음 |
9 | 손소독제로 손위생을 실시한다. | 감염을 예방하기 위해서 |
10 | 대상자 옷에 고정되어 있는 위관을 풀고, 꺾은 후 마개를 빼고 위관에 소량의 공기가 든 주사기를 연결한다. | 위내로 공기가 유입되지 않게 하기 위함 |
11 | 꺾어쥔 위관을 풀고 위관을 위벽에서 분리하기 위해 공기를 주입한 후 주사기로 위 내용물을 흡인한다. 내용물이 소화액인 경우에는 위로 다시 주입한다. 흡인한 내용물이 200~250ml 미만 일 경우 다시 주입하고, 250ml 이상이면 영양공급을 중단하고 의사에게 보고한다. | 비위관 위치는 매 급식 전 확인한다 |
12 | 위관을 꺾어쥐고 주사기를 분리하고 위관 마개를 막는다. | |
13 | 처방된 위관 영양액을 담은 용기를 주입 세트와 연결 후 공기를 끝부분까지 제거 후 걸대에 건다. | 위 내로 공기유입 방지 |
14 | 주사기 내관을 제거한 뒤 위관을 꺾어 쥔 후 위관 마개를 열고 위관에 주사기를 연결한다. | |
15 | 실온의 물 15~30ml 정도를 주사기에 붓고 꺾어쥔 위관을 풀어 천천히 주입하다가 주사기 끝에 물이 도달 했을때 다시 위관을 꺾어쥐고 주사기를 제거한다. | 위관이 막히는 것을 예방하기 위함 |
16 | 걸대에 걸어둔 처방 된 위관영양액 용기를 위관에 연결 후 꺾어 쥔 위관을 풀고 용액을 천천히 주입한다. (1분에 50ml 이하) | 빠른 주입은 위관 막힘, 오심, 구토를 유발하고 복부경련의 위험이 있다 |
17 | 처방된 위관영양액을 모두 주입하여 용기 끝에 용액이 도달했을 때 위관을 꺾어쥔 후 용기를 제거한다. | 위 내로 공기 유입 방지 |
18 | 내관을 뺀 주사기를 위관에 연결하고 실온의 물 30~60ml 주사기에 부어 위관을 씻어준다. | 농축된 유동식으로 인해 위관 막힘을 예방하고 깨끗함을 유지하기 위해서 |
19 | 물이 위관으로 다 주입되기 직전 위관을 꺾어 쥔 후 주사기를 빼고 위관 마개를 막은 후 위관을 다시 제자리에 고정한다. | 위 내로 공기 유입 방지 |
20 | 대상자에게 구토 예방을 위해 앉아 있어야 함을 설명 후 앉은 자세를 30분 이상 유지하도록 한다. | 좌위는 기도 흡인 예방 및 소화를 돕는다 |
21 | 사용한 물품을 정리한다. | 일반 의료 폐기물에 버림 |
22 | 물과 비누로 손위생을 실시한다. | 미생물 전파 방지 |
23 | 수행결과를 간호기록지에기록한다. 1) 날짜 및 시간 2) 용액의 양과 형태, 주입시간 3) 대상자의 반응 4) 대상자의 팽만감이나 구토증 5) 대상자의 자세 |
대상자의 반응을 기록 후 팽만감이나 구토 증상이 있을 시 적절한 조취를 취하고, 중복수행을 방지함 |
5. 간호기록지
간호기록지 다운로드 (pdf)
6. 핵심 정리
간헐적 위관영양은 경구 섭취가 어려운 대상자에게 일정한 간격으로 영양액을 투여하는 간호술기입니다. 위 내용물 잔량 확인과 체위 유지가 중요하며, 흡인 예방을 위해 주입 속도도 신중히 조절해야 합니다.
시행 전 대상자의 소화 상태와 의식 수준을 잘 사정하고, 주입 중에는 불편감이나 이상 반응이 없는지 꼼꼼히 관찰해야 합니다. 실습 중에는 기본 절차를 차근차근 익히면서, 대상자의 안위를 항상 먼저 생각하는 간호학생이 되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