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늘은 피내주사(ID, Intradermal Injection)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피내주사는 피부의 가장 얕은 층인 진피층에 소량의 약물을 주입하는 방법으로, 알레르기 반응 검사(AST), 투베르쿨린 반응 검사(TST), 일부 백신 접종 등에 사용되죠.
이번 포스팅에서는 피내주사의 목적, 투여 부위, 올바른 시술 방법과 주의사항, 간호기록, 수행항목 등을 정리해 보았어요!
정확한 피내주사를 위해 어떤 점을 주의해야 하는지 함께 배워볼까요?
1. 선행지식
Q. 피내주사의 목적은 무엇인가?
- 약물에 대한 알레르기 반응이나 과민반응을 알아보기 위함
Q. 약물반응검사(AST)와 투베르쿨린 반응검사 후 양성반응을 판독하는 방법은?
- 약물반응검사(AST, Allergy Skin Test) 판독 방법:
- 검사 후 15~30분 내에 팽진과 홍반이 발생하면 양성으로 판단
- 일반적으로 팽진 크기 ≥ 3~5mm 또는 가려움, 부종이 동반된 경우 양성 반응
- 강한 알레르기 반응이 있을 경우 주사 부위 주변으로 심한 홍반, 가려움, 물집 등이 나타남
- 중증 반응이 나타나면 전신 두드러기, 호흡곤란, 아나필락시스 반응이 동반될 수 있음 (이 경우 즉각적인 응급 처치 필요)
- 투베르쿨린 반응검사(Tuberculin Skin Test, TST, Mantoux Test) 판독 방법:
- 48~72시간 후 주사 부위의 경결(Induration, 단단한 부위)의 크기를 측정 경결 크기에 따라 양성 여부 결정
≥ 5mm: 고위험군(예: HIV 감염자, 면역억제 치료 중인 환자)에서 양성
≥ 10mm: 결핵 고위험군(예: 의료 종사자, 결핵 환자와 접촉한 사람)에서 양성
≥ 15mm: 결핵 고위험군이 아닌 일반인에서도 양성
- 과거 BCG 접종 여부에 따라 위양성 반응 가능성 있음
* 위양성시 재검사 -> 객담/폐검사
Q. AST 양성 반응시 취해야 할 간호중재는?
- 과민반응 이므로 의사에게 알리고, 약물 투여 취소 후 간호기록지에 기록함.
2. 피내주사
실습물품 | - 피내주사용 모형 - 5cc, 1cc 주사기 - 약물 라벨이 붙은 바이알, 20cc 주사용 증류수 앰플 - 손상성폐기물 전용용기, 일반 의료폐기물 전용용기 - 알콜솜, 손소독제, Tray - 간호기록지, 투약기록지 |
처방지 | - BR - Cefazolin 1g AST 시행 후 판독결과 표시하여 OR로 약물 함께 보내주세요 |
3. 의학용어 정리
- BR (Bed Rest) – 침상 안정
- TST (Tuberculin Skin Test) - 투베르쿨린 반응검사: 투베르쿨린 반응검사는 결핵균에 대한 세포 면역 반응을 확인하는 검사
- AST ( Allergy Skin Test ) - 약물반응검사
- OR (Operating Room) – 수술실
4. 수행절차 바로가기
번호 | 수행항목 | 이론적 근거 |
1 | 물과 비누로 손위생을 실시한다. | 미생물 전파 방지 |
2 | 투약처방(투약카드 or 컴퓨터 출력물)과 투약원칙 (대상자 등록번호, 대상자명, 약명, 용량, 투여경로, 시간)을 확인한다. | 안전하고 정확한 투약으로 투약오류 방지하기 위해 |
3 | 주사기로 주사용 증류수 5ml를 앰플에서 뺀다. | |
4 | 약물이 든 바이알의 고무마개를 소독 솜으로 닦는다. (바이알에 1g의 약물이 들어있는 경우를 기준으로 한다.) | 오염을 예방하기 위해서 |
5 | 바이알에 증류수 또는 생리식염수 5ml를 멸균적으로 주입한다. (약물 1000mg/5ml) (200mg/ml, *참고 0.5g/V-2.5ml, 2g/V-10ml mix) |
약물용량에 따라 희석용액이 달라진다. |
6 | 바이알에 들어있는 분말이 완전히 녹을 때까지 기포가 생기지 않게 조심히 바이알을 흔든다. | non-coring 방법은 고무마개가 약물로 유입되는 것을 예방한다. |
7 | 바이알의 고무마개를 소독솜으로 다시 닦는다. | 미생물 전파를 방지하기 위해 |
8 | 1ml 주사기로 바이알에서 0.9ml는 버리고 나머지 0.1ml의 약무를 빼내 총량 1ml로 희석한다.(2mg/ml) | 약물의 희석농도는 약물의 종류와 기관의 정책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 |
9 | 주사기로 약물 중 0.9ml는 버리고 나머지 0.1ml를 다시 총량 1ml로 희석한다.(2mg/ml) | |
10 | 필요한 물품을 준비한다. | 원활한 간호를 수행하기 위해 |
11 | 준비한 물품을 가지고 대상자에게 가서 간호사 자신을 소개한다. | 대상자의 협조를 구하고 처치에 대한 불안을 감소시키기 위해 |
12 | 손소독제로 손위생을 실시한다. | 오염예방 및 감염방지 |
13 | 대상자의 이름을 개방형으로 질문하여 대상자를 확인하고, 환자 팔지와 리스트 (처방지 or 컴퓨터 출력물)를 대조하여 대상자의 (이름, 등록번호)를 확인한다. | 안전한 간호를 수행하기 위한 대상자 확인 절차 |
14 | 대상자에게 피내주사의 목적과 절차에 대해 설명한다. | 대상자의 불안을 감소시키고 협조를 구하며 알 권리를 충족시킴 |
15 | 적절한 피내주사 부위를 선택한다(전완의 내측면) | 전완의 내측면은 피내주사 부위로 편리하다. 털이나 피부변색, 주름이 없어야 잘 관찰 됨 |
16 | 대상자의 팔을 침대나 침상 밑 탁자 위에 바로 펴서 앉은 다음 편안한 자세로 있게한다. | |
17 | 손소독제로 손위생을 실시한다. | 미생물 전파 방지 |
18 | 주사놓을 부위를 소독솜으로 안에서 바깥쪽으로 직경 5~8cm 정도 둥글게 닦은 다음 소독액이 마를때까지 기다린다. | 감염을 예방하기 위해서 |
19 | 한 손으로 주사부위 위쪽 또는 아래쪽으로 2~3cm 떨어진 부위의 피부를 팽팽하게 잡아 당긴다. | 피부를 당겨주면 주사바늘이 피내로 쉽게 삽입됨 |
20 | 다른 손으로 주사바늘의 사면이 위로 오도록 하여 주사기가 피부와 10~15도의 각도를 유지하도록 잡은 다음 표피아래 진피층에 주사바늘의 사면이 들어갈 때까지 피내에 삽입한다. | 사면을 밑으로 향하게 되면 약물이 피하층에 닿아 잘 나오지 않을 수 있음. 위로 팽현이 되지 않는다. |
21 | 주사바늘의 사면이 피내로 삽입되고 나면 피부를 잡아 당겼던 손으로 주사기의 밀대를 밀어 피부의 직경이 약 5~6mm 정도의 낭포가 생길때 까지 약물을 서서히 주입한다. | 천천히 주입하게 되면 대상자의 불편감이 감소할 수 있음 |
22 | 주사바늘을 빼낸 후 주사바늘이 빠져나온 부위로 약물이 나와 물기가 생긴 경우는 마른 멸균거즈로 살짝 닦아낸다. | 눌러서 닦으면 통증이 유발되고 검사결과에 영향을 미친다. |
23 | 작은 낭포의 둘레를 동그랗게 표시한 후 주사 약명과 투여시간을 적고 주사부위를 마사지 하지 않는다. | 마사지 하면 약물이 분산되거나 도로 빠져나와 검사에 영향을 준다. |
24 | 사용한 물품을 정리한다. (채혈침은 손상폐기물 전용용기에 버리고, 사용했던 소독솜과 혈액이 묻은 검사지는 일반 의료기폐기물 전용용기에 버린다.) | 자상 및 교차감염 예방을 위해서 |
25 | 손소독제로 손위생을 실시한다. | 미생물 전파 방지 |
26 | 15분 후 주사부위 피부반응 결과 판독 | |
27 | 수행결과를 간호기록지와 투약기록지에 기록한다. 1) 5rights 2) 피부반응결과: 양성 혹은 음성 3) 필요시 투약목적, 대상자 반응, 투약 못한 이유 |
중복수행을 방지하고, 법적 근거를 갖기 위해 |
5. 간호기록지
간호기록지, 투약기록지 다운받기 (pdf)
6. 핵심정리
피내주사는 피부 바로 아래에 약물을 주입하여 반응을 확인하는 중요한 간호술기입니다. 정확한 주사 위치와 바늘 각도를 유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시술 전에는 대상자의 알레르기 반응 여부를 확인하고, 주사 부위의 청결을 유지해야 합니다. 간호학생은 주사 후 약물 반응을 잘 관찰하고, 주사 부위에 붓기나 발진이 생기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