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핵심간호술5

기본 심폐소생술 및 제세동기 - 기본간호 [핵심간호술기] 오늘은 심폐소생술(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CPR)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심폐소생술은 심정지 상태에서 심장과 폐의 기능을 되살리기 위해 시행하는 응급처치로, 신속하고 정확한 시행이 생명을 구하는 데 큰 역할을 합니다. 가슴압박(Chest Compression), 인공호흡(Rescue Breathing), 자동제세동기(AED,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사용 등이 포함되며, 올바른 방법을 숙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심폐소생술의 기본 절차, 시행 방법, 주의사항 등을 자세히 알아볼 예정입니다.     1. 기본 심폐소생술 및 제세동기 적용실습물품- 심폐소생술 모형- 자동제세동기- mouth shied- 손 소독제   2. 의.. 2025. 2. 28.
배출관장 - 기본간호 [핵심간호술기] 오늘은 배출관장(Cleansing Enema, Evacuation Enema)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배출관장은 장 내 노폐물이나 대변을 제거하고, 변비 완화 또는 수술 및 검사 전 장 정결을 위해 시행되는 술기입니다. 특히, 장폐색 예방, 독소 제거, 변비완화 등의 목적으로도 사용됩니다. 배출관장은 용액의 종류와 목적에 따라 여러 가지 방법이 있으며,다양한 방법이 존재합니다. 시행 시 용액의 온도, 주입 속도, 대상자의 자세 등을 고려하여 안전하게 수행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배출관장의 목적, 시행 방법, 주의사항, 이론적 근거, 간호기록지 등이 포함되어 있으니 함께 공부해 보겠습니다.     1. 선행지식Q. 배출관장시 사용하는 직장튜브 및 카테터 크기 ? - 성인: 22~30Fr- .. 2025. 2. 21.
단순도뇨 - 기본간호 [핵심간호술기] 오늘은 단순도뇨(Simple Catheterization)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단순도뇨는 배뇨가 어려운 환자에게 일시적으로 도뇨관을 삽입하여 방광의 소변을 배출하는 술기입니다. 요폐(Urinary Retention), 방광 팽만(Bladder Distention), 배뇨 곤란(Dysuria) 등의 증상이 있는 환자에게 시행되며, 유치도뇨와 달리 도뇨관을 삽입 후 즉시 제거한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단순도뇨는 비교적 간단한 술기이지만, 무균술을 철저히 지켜 감염을 예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단순도뇨의 목적, 시행 방법, 주의사항 등을 자세히 다뤄볼 예정이니, 함께 알아보도록 해요.     1. 선행지식Q. 단순도뇨의 목적은 ? - 급성 방광 팽만을 완화 하기 위함- 무균적인 소변검사물 .. 2025. 2. 18.
간헐적 위관영양 - 기본간호 [핵심간호술기] 오늘은 위관영양(Enteral Nutrition)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위관영양은 경구 섭취가 어려운 환자에게 적용되는 영양 공급 방법으로,  비위관(NG Tube, L-Tube) 또는 위루관(G-Tube)을 이용해 영양소를 직접 공급하는 방식입니다. 하지만 올바른 삽입과 관리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흡인성 폐렴(Aspiration Pneumonia)과 같은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어 세심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위관영양의 목적, 적응증, 이론적 근거, 주의사항, 간호기록지, 선행지식 등을 꼼꼼하게 정리해 보겠습니다. 정확하고 안전한 위관영양 수행을 위해 함께 알아볼까요?    1. 선행지식Q. 위관영양액을 체온정도로 데우는 이유는 ? - 영양액의 온도는 실온정도가 적절하여 차가운 영양.. 2025. 2. 18.
보호장구 착용 및 폐기물 관리 - 기본간호 [핵심간호술기] 오늘은 기본간호 핵심간호술기 '보호장구 착용 및 폐기물 관리'에 대해 작성해보도록 하겠습니다.저는 무균술을 지키며 보호장구를 착용하는 것이 보기에는 쉬웠지만 생각보다 어렵기도 하고, 모자나 마스크를 착용한 모습이 웃기기도 했던 실습이라 기억에 남았어요! 이 글을 보시는 여러분들도 다들 어떤 부분에서 무균술을 잘 지켜야 하는지 실습 전 이론 지식을 꼼꼼히 공부해 보세요!    1. 선행지식Q. 내과적 무균술과 외과적 무균술의 차이점은 ? - 내과적 무균술 : 감염회로를 차단하여 병원체 수와 전파를 줄이는 방법이며, 모든 대상자에게 적용 됨- 외과적 무균술 : 아포를 포함한 어떠한 미생물도 전혀 없는 멸균상태를 유지하고 수술실, 분만실, 투석실, 내시경실 등에서 이용 됨 Q. 멸균장갑을 끼기 위하여 엄지손가.. 2024. 12.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