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늘은 기본간호 핵심간호술기 '보호장구 착용 및 폐기물 관리'에 대해 작성해보도록 하겠습니다.저는 무균술을 지키며 보호장구를 착용하는 것이 보기에는 쉬웠지만 생각보다 어렵기도 하고, 모자나 마스크를 착용한 모습이 웃기기도 했던 실습이라 기억에 남았어요!
이 글을 보시는 여러분들도 다들 어떤 부분에서 무균술을 잘 지켜야 하는지 실습 전 이론 지식을 꼼꼼히 공부해 보세요!
1. 선행지식
Q. 내과적 무균술과 외과적 무균술의 차이점은 ?
- 내과적 무균술 : 감염회로를 차단하여 병원체 수와 전파를 줄이는 방법이며, 모든 대상자에게 적용 됨
- 외과적 무균술 : 아포를 포함한 어떠한 미생물도 전혀 없는 멸균상태를 유지하고 수술실, 분만실, 투석실, 내시경실 등에서 이용 됨
Q. 멸균장갑을 끼기 위하여 엄지손가락을 가능한 멀리 외전시키는 이유는 ?
- 엄지손가락이 비 멸균 부위에 접촉하여 오염되는 것을 막기 위해
2. 보호장구 착용 및 폐기물 관리
실습물품 | - 멸균가운 (일회용 가운이나 천 가운) - 모자, 마스크 (일회용) - 멸균 장갑 - 오염세탁물 수집용기 - 손상성 폐기물 상자, 감염성 폐기물 전용용기 - 손소독제 |
3. 수행절차 바로가기
번호 | 수행항목 | 이론적 근거 |
멸균가운과 보호 장구 착용 | ||
1 | 물과 비누로 손위생을 실시한다. | 손에 있는 일시균 제거 및 미생물 수 줄이기 위해 |
2 | 필요한 물품을 준비한다. | |
3 | 가운의 멸균포를 몸에서 먼 바깥쪽부터 차례대로 열어 펼친다. | 트레이 밖으로 나온 멸균포는 오염으로 간주함 |
4 | 수술용 장갑의 겉포장 끝을 벌려 속포장지가 오염되지 않도록 주의하며 가운을 펼친 멸균포 안에 넣는다. | 가운과 장갑이 멸균상태를 유지하도록 주의함 |
5 | 모자 착용: 머리카락이 나오지 않도록 모자를 착용한다. | 머리카락에 있는 미생물 전파 차단 |
6 | 마스크 착용: 코와 입이 완전히 덮이도록 마스크 착용 1) 마스크의 윗부분을 콧마루 위에 놓고-마스크 하단부는 턱 밑에 고정 (안경을 쓴 경우 마스크가 안경 밑으로) 2) 마스크의 금속선을 콧마루에 맞추어 눌러 밀착시킨다. |
마스크로 입과 코 모두 차단하기 |
7 | 외과적 손위생을 실시한다. | 손에 있는 미생물 전파 방지 |
8 | 멸균가운착용: 가운 내부에 목 둘레 아래 5~7cm 부위를 잡고 주변이 오염되지 않도록 들어올려 가운을 길게 늘어뜨린 후 소매로 들어가는 구멍을 찾는다. | |
9 | 양쪽 손으로 각각의 구멍을 잡은 후 양쪽 손을 동시에 소매 안으로 밀어 넣어 손이 가운 소매 밖으로 나오지 않게, 양쪽 팔을 가운의 소매까지만 집어 넣는다. | 가운의 겉면은 멸균되어 있으므로 멸균상태를 유지하기 위함 |
10 | 보조자가 멸균가운 착용자의 등 뒤에 서서, 보조자의 손이 멸균 가운의 앞부분과 접촉하지 않도록 주의하며 가운 착용자의 손이 멸균가운 소매 밖으로 나오지 않도록 가운 뒷 부분을 잡아 당긴 후 등쪽의 가운 끈을 묶어준다. | 시험자와 보조자 모두 무균술을 지켜야 하며 행하는 행위 도중 오염영역에 닿게 되면 모두 오염으로 간주 함 |
11 | 손은 가운 소매 속에 위치한 채로 몸을 앞으로 살짝 구부려 양쪽 허리띠가 앞으로 늘어지도록 하며 보조자는 양쪽 허리띠 끝 부분을 각각 잡아 가운 착용자의 허리 뒤쪽에서 묶어준다. * 참고) 1회용 가운인 경우: -가운의 앞면에 늘어진 끈 중 짧은 끈은 가운 착용자가 잡고 있고, 긴끈은 끝에 달린 종이와 함께 보조자에게 건내준다. -보조자는 끈에 달린 종이의 끝 부분만 잡고, 긴 끈을 가운 착용자의 등 뒤로 한 바퀴 돌린 후 다시 가운 착용자에게 건내주며 종이를 꼭 잡고 있는다. -가운 착용자는 전달받은 긴 끈을 당겨 종이가 떨어지게 한 후 짧은 끈과 함께 허리 앞쪽에서 묶는다. |
유니폼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가운 등 뒤에서 가능한 많이 겹치게 한다 |
12 | 멸균장갑 착용: <폐쇄법> 양 손 모두 가운의 소매 안에 둔채로 손이 밖으로 나오지 않도록 주의하며 멸균 장갑의 속포장지를 펼치고 왼 손으로 오른쪽 장갑의 손목부분을 집어 올린다. (손은 소매 밖으로 나오지 않아야 함.) |
간호사의 피부가 미생물에 노출되는 것을 막기 위함 |
13 | 왼손으로 집어올린 오른쪽 장갑의 손목부분이 오른쪽 가운 소매의 끝 부분에 오도록 하고 장갑의 엄지 손가락부분은 몸의 바깥쪽 (소매 안의 손바닥 엄지손가락 쪽)을 향하게 하여 오른쪽 가운 소매 위에 올려놓는다. (장갑의 손가락 부분이 팔 쪽으로 향하게 됨.) | 내부 포장안에 있는 장갑의 멸균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폐쇄적 멸균장갑 착용법 수행 |
14 | 오른 손으로 장갑 소매부분을 잡고, 왼쪽 손으로 장갑끝을 잡아 가운의 오른쪽 소매 끝 부분을 완전히 뒤집어 씌운다음, 왼손으로 소매 부분을 잡아 당겨 장갑 착용 | 장갑은 멸균가운의 손목 부분까지 완전히 덮어 손목 피부가 밖으로 나오지 않도록 매우 주의 해야 함 |
15 | 오른손으로 왼쪽 장갑을 잡아 같은 방법으로 왼손 가운 소매 위 올려놓고, 왼손으로 장갑 소매 끝 부분을 잡고 오른 손으로 장갑 끝을 잡아 왼쪽 소매 끝 부분을 완전히 뒤집어 씌운다음, 오른 손으로 소매 부분을 잡아 당겨 장갑을 착용한다. | |
오염가운과 보호장구 벗기 | ||
1 | 장갑을 벗는다. 1) 한 쪽 장갑의 소매끝을 잡고 손가락 끝 위로 장갑을 뒤집으며 벗지는 않는다. |
오염된 부분이 손이나 손목에 닿지 않도록 함 |
2 | 2) 다른 쪽 장갑의 소매 끝을 잡아 아래쪽으로 뒤집으며 벗는다. | 장갑의 안쪽 면이 바깥으로 나오게 뒤집어 벗는다 |
3 | 3) 남은 장갑의 안쪽을 잡아당겨 뒤집어 벗으며 양쪽 장갑을 모아 감염성 폐기물 전용용기에 넣는다. | 손이 오염된 바깥 쪽을 만지지 않도록 뒤집어 버린다 |
4 | 가운의 끈을 목, 허리 순으로 푼다. | 앞쪽 허리끈은 오염으로 간주 함 |
5 | 오른쪽 검지를 오염 가운의 왼쪽 소매 밑에 넣어서 소매끝을 손등위로 조금 끌어내린다. | 손이 나오지 않도록 오염된 면귀에 닿게 하여 소매를 내려야 함 |
6 | 오염된 가운의 오른편 소매를 소매에 덮인 왼손으로 잡고 약간 끌어내린다. | 가운의 바깥면은 오염으로 간주 |
7 | 손을 소매속에서 움직이면서 어깨의 내면을 잡고 가운을 벗은 다음, 일회용의 경우 감염성 폐기물 전용용기에 넣고 재사용 가운의 경우 오염세탁물 수집용기에 넣는다. | 대상자 쪽에 노출 된 마스크 바깥쪽은 만지지 말고 끝만 잡아 벗는다 |
8 | 마스크를 벗어 감염성 폐기물 전용용기에 넣는다. | |
9 | 손소독제로 손위생을 실시한다. | 미생물 감염 예방 |
10 | 방 밖으로 나와 물과 비누로 손 위생 실시한다. | 감염예방 위해 |
폐기물 관리 | ||
1 | 사용했던 모든 물품을 일회용과 계속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구분한다. | 기관방침에 따라 적절히 구분 |
2 | 날카로운 도구는 손상성 폐기물 상자에 즉시 버리고 나머지는 감염성 폐기물 전용용기에 버린다. | 손상성 폐기물은 합성 수자류 상자형 용기에, 나머지는 골판지류 상자형 용기에 버린다 |
3 | 재사용 물건은 따로 구분하여 이동 후 소독수에 침적함. | 방수주머니에 넣어 내용물이 새어나오지 않도록 함 |
4 | 물과 비누로 손 위생을 실시한다. |
4. 핵심정리
보호장구 착용은 감염 예방을 위해 매우 중요한 간호술기입니다. 올바르게 착용하여 자신과 환자를 보호하며, 장구의 종류에 따라 필요한 보호를 충분히 제공해야 합니다.
폐기물 관리 역시 감염 관리를 위한 중요한 부분으로, 정해진 절차에 따라 적절하게 처리해야 합니다. 실습 중에는 보호장구의 올바른 착용과 폐기물 처리 과정을 철저히 익히는 것이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