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늘은 피하주사(SC, Subcutaneous injection)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피하주사는 약물을 천천히 흡수시키면서도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주사 방법인데요. 인슐린 주사, 예방접종 등 다양한 상황에서 사용되죠!
이번 포스팅에서는 피하주사의 원리, 주요 투여 부위, 올바른 주사 방법과 주의사항, 수행절차, 간호기록 등을 정리해 보았으니, 실습을 준비하 는 분들에게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함께 꼼꼼하게 익혀볼까요?
1. 선행지식
Q. 소독솜으로 닦은 후 완전히 마를 때 까지 기다리는 이유는?
- 알코올이 피부내로 들어가면 통증이 발생하며, 마른 다음에 소독효과가 나타나기 때문
Q. 주사부위를 번갈아가며 지정하는 이유는?
- 주사부위를 번갈아 가며 사용해야 지방조직 손상을 예방할 수 있음
- 반복 사용 시 조직 손상 및 흡수 장애 발생 가능
Q. 피하주사 부위를 서술하시오
1. 상완(Upper arm) – 삼각근 아래 부위
-어깨 삼각근(Deltoid muscle)의 아래쪽, 팔의 뒤쪽(상완 삼각근 아래 지방층)
-주로 예방접종 시 많이 사용됨
2. 복부(Abdomen) – 배꼽 주변 부위
-배꼽에서 약 5cm(두 손가락) 이상 떨어진 부위
-보통 인슐린 주사(당뇨 환자) 및 헤파린 주사(항응고제) 시 사용
* 주의점: 배꼽에서 너무 가까운 부위는 피해야 함, 주사 부위를 번갈아 가며 사용해야 지방조직 손상을 예방할 수 있음
3. 대퇴 전외측(Thigh – Anterolateral aspect of thigh)
-허벅지 앞쪽 바깥부분(대퇴직근과 외측광근 부위의 중간점)
-주로 자가 주사(인슐린, 항응고제 등) 시 사용
4. 둔부(Buttocks) – 둔부 상외측 부위
엉덩이 위쪽 바깥부분(둔부 측면)
Q. 인슐린 주사 후 마사지를 하지 않는 이유는 ?
- 주사부위를 마사지하면 약물 흡수가 촉진되거나 조직자극이 초례되므로 특히 인슐린이나 헤파린을 피하주사한 경우 주사 후 마사지를 하지 않는다.
2. 피하주사
실습물품 | - 근육주사용 둔부모형 - 1cc 주사기, 인슐린 주사기 - 인슐린 라벨이 붙은 바이알 - 간이혈당 측정기 세트 - 알콜솜, 손소독제, Tray - 간호기록지, 투약기록지 |
처방지 | - BR - BST check 4회/day - Humulin N 20unit SC 8AM - Humulin R 4unit SC 매식 전 |
3. 의학용어 정리
- BR (Bed Rest) – 침상 안정
- SC (Subcutaneous Injection) - 피하주사
- BST (Blood Sugar Test) – 혈당 검사
4. 수행절차 바로가기
번호 | 수행항목 | 이론적 근거 |
1 | 물과 비누로 손위생을 실시한다. | 미생물 전파 방지 |
2 | 필요한 물품을 준비한다. | 원활한 간호를 수행하기 위해 |
3 | 준비한 물품을 가지고 대상자에게 가서 간호사 자신을 소개한다. | 대상자의 협조를 구하고 처치에 대한 불안을 감소시키기 위해 |
4 | 손소독제로 손위생을 실시한다. | 오염예방 및 감염방지 |
5 | 대상자의 이름을 개방형으로 질문하여 대상자를 확인하고, 환자 팔지와 리스트 (처방지 or 컴퓨터 출력물)를 대조하여 대상자의 (이름, 등록번호)를 확인한다. | 안전한 간호를 수행하기 위한 대상자 확인 절차 |
6 | 대상자에게 혈당측정 목적과 절차에 대해 설명한다. | 대상자의 불안을 감소시키고 협조를 구하며 알 권리를 충족시킴 |
7 | 대상자의 손가락 끝을 채혈하기 적절한지 확인한 다음 소독솜으로 닦아 말린다. | 미생물 수를 감소시켜 감염을 예방하기 위해 |
8 | 채혈기에 채혈침을 끼워 대상자 피부 상태에 맞도록 삽입길이를 조절한다. | 대상자의 피부 두께에 맞는 삽입 깊이를 조절하여 충분한 혈액 확보, 통증 및 조직 손상 최소화, 정확한 혈당 측정을 위해서이다. |
9 | 검사지를 꺼내 혈당측정기를 준비한다(기계에 따라 시행-전원 작동, 검사지 삽입) | |
10 | 손가락 끝 부분의 측면에 채혈기를 놓고 채혈침이 피부를 순간적으로 천자하도록 버튼을 누른다. | |
11 | 천자부위는 혈액이 자연히 흘러나오게 한 다음 혈액물을 검사지에 묻히고 천자부위를 소독솜으로 누른다. | 힘주어 짜게 되면 결과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 |
12 | 혈당측정 모니터에 나온 수치를 확인하고 메모 후 대상자에게 설명한다. | 대상자의 알권리를 충족하기 위해 |
13 | 사용한 물품을 정리한다. (채혈침은 손상폐기물 전용용기에 버리고, 사용했던 소독솜과 혈액이 묻은 검사지는 일반 의료기폐기물 전용용기에 버린다.) | 자상 및 교차감염 예방을 위해서 |
14 | 손소독제로 손위생을 실시한다. | 미생물 전파 방지 |
15 | 혈당기록지에 혈당 측정치를 기록한다. | |
16 | 혈당 측정치에 따라 R-1 scale에 따른 투약 할 인슐린의 양을 확정 후 투약카드를 준비한다. | |
17 | 손소독제로 손위생을 실시한다. | 미생물 전파 방지하기 위해 |
18 | 투약 카트에서 대상자의 약물이 들어있는 약포지를 꺼내어 투약 처방과 원칙을 확인한다. | 투약 오류를 방지하기 위해서 |
19 | 필요한 물품을 준비한다. | |
20 | 손소독제로 손위생을 실시한다. | 미생물 전파를 막아 감염의 기회를 줄임 |
21 | 대상자의 이름을 개방형으로 질문하여 대상자를 확인하고 입원팔찌/ 환자 리스트를 대조하여 대상자를 확인한다. | 안전한 간호를 위한 대상자 확인 절차 |
22 | 준비된 약물의 투여목적과 작용 및 유의사항에 대해 설명한다. | 알권리를 보호하고 치료참여를 격려시키기 위함 |
23 | 인슐린 주사부위 기록지를 보고 주사부위를 선택 후 대상자가 편안하게 자세를 취하도록 주사부위에 타박상, 부종, 경련, 민감성, 변색등이 있는지 사정 후 주사부위를 확인하고 교대로 주사할 부위를 확인한다. | 반복적으로 주사된 피부는 딱딱해져 약물 흡수가 안 되고 조직 손상을 줄이며, 약물 흡수를 돕기 위해 |
24 | 손소독제로 손위생을 실시한다. | 미생물 전파 방지 |
25 | 주사 놓을 부위를 소독솜으로 안에서 바깥쪽으로 직경 5~8cm 정도 둥글게 닦는다. | 주사부위 미생물 제거 |
26 | 주사바늘 뚜껑을 제거하고, 주사기를 잡지 않은 손으로 주사부위 주변의 피부를 팽팽하게 잡고, 주사바늘을 45~90도로 빠르면서도 정확하게 삽입 후 약물을 주입한다. | 팽팽하게 피부를 당겨 바늘이 잘 통과하게 하고, 통증의 민감성이 낮아진다. |
27 | 주사바늘을 재빨리 뺀 후 주사기는 트레이에 넣고 주사기를 빼낸 부위는 소독솜으로 살짝 눌러주되 주사부위를 마사지 하지는 않음 | 바늘을 뺄 때 불편감을 막기 위해 삽입한 각도로 빠르게 제거한다. 약물의 흡수가 서서히 일어나도록 하고 주사부위를 마사지 하지 않는다. |
28 | 인슐린 주사 부위 기록지에 주사시행 사항을 기록함 (날짜, 시간, 서명) |
동일 부위에 주사하면 조직손상을 초래하고 피하지방이 위축되어 피부가 깊게 함몰 될 수 있음 |
29 | 사용한 물품을 정리한다.(주사바늘은 뚜껑을 되씌우지 않은 채 손상성폐기물 전용용기에 버리고 사용했던 소독솜과 주사기는 일반 의료폐기물 전용용기에 버린다) | 교차감염과 자상 방지하기 위해 |
30 | 물과 비누로 손 위생을 한다. | 미생물 전파를 방지하기 위해 |
31 | 수행결과를 간호기록지와 투약기록지에 기록한다. 1) 5rights 2) 필요시 투약목적, 대상자 반응, 투약 못한 이유, 혈당측정결과, 인슐린 투여량 |
중복수행을 방지하고, 법적 근거를 갖기 위해 |
5. 간호기록지
간호기록지, 투약기록지 다운받기 (pdf)
6. 핵심정리
피하주사는 약물을 피부 바로 아래 지방층에 주입하는 간호술기입니다. 주사 부위는 통증을 최소화할 수 있는 곳을 선택하고, 바늘 각도와 깊이를 정확히 맞추는 것이 중요합니다.
시술 전 대상자의 상태와 약물의 특성을 잘 파악하고, 주사 후에는 주입 부위의 반응을 꼼꼼히 체크해야 합니다. 실습 중에는 천천히 침착하게 진행하며, 대상자가 불편하지 않도록 배려하는 간호를 실천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