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늘은 기본간호학 핵심간호술 근육주사(IM) 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근육주사는 약물을 빠르게 흡수시키고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중요한 투여 방법 중 하나인데요.
하지만 올바른 부위를 선택하고 정확한 방법으로 주사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죠!
이번 포스팅에서는 근육주사의 주요 부위(둔부, 대퇴부, 삼각근), 올바른 투여 방법, 주의사항, 수행절차, 간호기록지 등을 자세히 정리해 보았으니, 실습을 준비하는 분들에게 많은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1. 선행지식
Q. 5 Rights ?
- 대상자명, 약명, 용량, 투여경로, 시간
Q. 둔부의 근육주사시 취해야 할 체위를 주사 부위에 따라 설명하시오
- 둔부의 복면 : 앙와위
- 둔부의 배면: 복위
Q. 주사기 바늘을 근육 내 주입 후 주사기의 내관을 뒤로 당겨보는 이유는?
- 주사바늘에 혈관관통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서
Q. 근육주사 시 주사 부위를 마사지 하는 이유는 ?
- 투여된 약물이 피하조직으로 세어나갈 수 있기 때문에 시행함. 그러나 최근에는 주사 부위 압박하는 것을 권장 함.
2. 근육주사
실습물품 | - 근육주사용 둔부모형 - 3cc 주사기 - 약물 라벨이 붙은 앰플 - 손상성폐기물 전용용기, 일반 의료폐기물 전용용기 - 투약기록지, 간호기록지 - 알콜솜, 손소독제, Tray |
처방지 | - BR - PRN) Diclofenac 1mL IM (NRS 5점 이상) |
3. 의학용어 정리
- BR (Bed Rest) – 침상 안정
- PRN (Pro Re Nata) – 필요 시
- IM (Intramuscular Injection) – 근육주사
- NRS (Numeric Rating Scale) – 숫자통증척도 (0~10까지 숫자로 환자의 통증 정도를 평가하는 도구)
4. 수행절차 바로가기
번호 | 수행항목 | 이론적 근거 |
1 | 물과 비누로 손위생을 실시한다. | 미생물 전파 방지 |
2 | 투약처방(투약카드 or 컴퓨터 출력물)과 투약원칙(5rights)을 확인 | 안전한 간호를 수행하기 위해 |
3 | 근육주사에 필요한 약물을 정확한 용량 및 방법으로 주사기에 준비한다. | 투약사고를 예방하기 위해서 |
4 | 필요한 물품을 준비한다. | 원활한 간호를 수행하기 위해 |
5 | 준비한 물품을 가지고 대상자에게 가서 간호사 자신을 소개한다. | 대상자의 협조를 구하고 처치에 대한 불안을 감소시키기 위해 |
6 | 손소독제로 손위생을 실시한다. | 오염예방 및 감염방지 |
7 | 대상자의 이름을 개방형으로 질문하여 대상자를 확인하고, 환자 팔지와 리스트 (처방지 or 컴퓨터 출력물)를 대조하여 대상자의 (이름, 등록번호)를 확인한다. | 안전한 간호를 수행하기 위한 대상자 확인 절차 |
8 | 약물의 투여목적과 작용 및 유의사항에 대해 설명한 다음 의문사항이 있으면 질문하도록 한다. | 대상자의 불안을 감소시키고 협조를 구하며 알 권리를 충족시킴 |
9 | 커튼(스크린)으로 대상자의 사생활을 보호한다. | 프라이버시 유지를 위해 |
10 | 대상자의 상태와 약물 용량에 따라 적합한 주사부위를 정한 후 적절한 체위를 취하도록 하고 주사부위를 노출시킨 다음 주사부위를 선정한다. (사례에 따라 1~4 중 선택하여 수행) 1. 둔부의 배면 부위: 둔부(엉덩이)를 4등분하여 상외측(왼쪽 위나 오른쪽 위) 사분면을 찾음. 좌골신경(Sciatic nerve)과 주요 혈관을 피하기 위해 상외측 부위에 주사. 엎드린 자세(복와위) 또는 측와위(옆으로 누운 자세)에서 시행. 2. 둔부의 복면 부위: 대전자(Greater trochanter, 넓적다리뼈의 튀어나온 부분)에 손바닥을 놓음. 검지 손가락을 전상장골극(ASIS, 앞쪽 골반뼈 돌출 부위)에 놓고, 중지를 벌려 삼각형을 만듦. 삼각형 안쪽 부드러운 근육 부위(중둔근, 소둔근)에 주사. 환자는 바로 눕거나 측와위 자세에서 시행. 3. 대퇴부위: 허벅지를 3등분했을 때, 가장 바깥쪽 근육(외측광근, Vastus lateralis)의 중간 부위에 주사. 앉은 자세(좌위) 또는 바로 누운 자세(앙와위)에서 시행. 4. 삼각근 중앙 부위: 어깨뼈 견봉(Acromion process, 어깨뼈의 튀어나온 부분) 아래 2~3손가락 정도 되는 중앙 부위에 주사. 환자는 앉거나 선 상태에서 시행. |
적절한 체위를 취해주면 주사 부위의 근육이 이완 됨. |
11 | 손소독제로 손 위생을 실시한다. | 미생물 전파를 줄이기 위해 |
12 | 선정된 부위를 소독솜으로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직경 5~8cm 정도 둥글게 닦아 낸 후 소독약이 마르면 투약카드를 보고 약을 확인 한 후 한 손으로 주사기를 집어 올려 주사바늘 뚜껑을 제거한다. | 주사침에 의해 조직속으로 들어갈 수 있는 미생물 전파 방지 |
13 | 주사바늘을 90도로 유지한 다음 주사 부위로 선정된 주사 부위 근육을 재빨리 찌른다. | 90도로 찌르면 근육 깊숙이 주사침이 삽입이 되고 재빨리 찌르는 것은 통증이 감소 됨 |
14 | 피부를 잡았던 손의 엄지와 집게 손가락으로 주사기 하단부를 잡고 주사기를 잡았던 손으로는 주사기의 내관을 살짝 뒤로 당겨 혈액이 나오지 않으면 주사기 내관을 당겨보던 손의 엄지손가락으로 내관을 밀어 천천히 약물주입. (마냑 주사기에 혈액이 보인다면 주사기를 빼내어 버린다음 다시 주사함) |
-주사침 삽입 부위 주위 조직 손상예방 -주사침이 혈관으로 삽입되었는지 확인하고 약물을 서서히 주입하면서 조직에 분산되어 조직속으로 약물이 퍼지는 속도를 늦춰 대상자의 통증/불편을 감소함. |
15 | 약물 주입이 끝나면 소독솜으로 주사부위를 누르면서 주사바늘 삽입할 때와 같은 각도로 주사기를 재빨리 빼서 트레이에 놓고, 소독솜을 댄 채로 주사부위를 마사지한다. (주사바늘 제거 후 출혈이 있을 때는 주사부위를 1~2분 정도 압박한다.) | -주사부위를 눌러 약물이 피하조직으로 스며드는 것 최소화 -삽입 각도와 같은 각도로 주사기를 빼내면서 조직 열상 방지 -주사침을 빨리 제거하면 조직이 당겨올라오는 것을 최소화 -약물흡수 촉진 |
16 | 소독솜을 트레이에 놓고 환의를 입힌 후 대상자의 자세를 편안하게 해준다. | 대상자의 안위를 지키기 위해 |
17 | 주사 후 기대효과를 설명한다. | 대상자의 이상증상 발생시 즉각적 보고/ 조치가 가능하도록 하기위해 |
18 | 커튼(스크린)을 걷는다. | 대상자의 안위 보호 |
19 | 사용한 물품을 정리한다.(주사바늘은 뚜껑을 되씌우지 않은 채 손상성 폐기물 전용용기에 버리고, 사용했던 소독솜과 주사기는 일반 의료기 폐기물 전용용기에 버린다.) | 주사침으로 인한 자상과 교차감염 예방하기 위해 |
20 | 물과 비누로 손위생을 실시한다. | 미생물 전파를 막아 감염의 기회를 줄임 |
21 | 수행결과를 대상자의 간호기록지, 투약기록지에 기록한다. 1) 5rights 2) 필요시 투약목적, 대상자의 반응, 투약사유 또는 못한이유 |
정확한 기록은 법적 근거가 되며, 투약 후 즉시 기록하여 약물의 이중투여를 방지한다. |
5. 간호기록지
간호기록지, 투약기록지 다운받기 (pdf)
6. 핵심정리
근육주사는 약물을 근육에 직접 주입하는 간호술기입니다. 주사 부위는 넓고, 근육량이 충분한 부위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시술 전 대상자의 알레르기 반응이나 약물 특성을 파악하고, 주사 후에는 주입 부위를 확인하여 통증이나 이상 반응을 모니터링해야 합니다. 실습 중에는 정확한 기술을 익히고, 환자의 편안함을 최우선으로 고려하는 간호를 실천해 보세요!